라벨이 인 게시물 표시전체 보기

소스타인 베블런, 『기업론』

『기업론』 ISBN: 979-11-419-5544-1 본서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의 『기업론(The Theory of Business Enterprise)』을 완역한 것이다. 베블런은 이 책에서 현대사회의 핵심으로 기업을 지목하고, 그 작동방식과 의…

Read more »

토머스 홉스, 『베히모스』

『베히모스: 잉글랜드 내전에 관한 대화편』 ISBN: 9791141090999 『베히모스』는 토머스 홉스가 영국 내전에서 보고 들은 바를 기록한 책으로, 본서는 이를 완역한 것이다. 본 저술은 1668년경 완성되었으나 찰스 2세에게 출간을 허락받지 못하고 해적판으로만 떠돌다 …

Read more »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블랙스완”

간단한 예를 들어보자. 2019년의 장시작일, 1월 2일에 삼성전자의 주가는 38,750원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렇다면 질문. 2018년 1월 2일의 삼성전자의 주가가 반드시 38750원으로 마무리되어야만 했던 명확하고도 분명한 이유를 찾을 수 있는 것일까? 장종료가 3…

Read more »

존 H. 엘리엇, “대서양의 두 제국”

시간은 불연속적이지 않다. 하지만 그 시간을 기록해 놓은 역사는 불연속적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하는 게 좋겠다. 단지 기록이 그렇다는 것이다. 역사 자체는 단지 지나간 시간일 뿐이며, 따라서 시간이 뚝뚝 끊어진 채로 흐르지 않는 바에야 역사 역시 뚝뚝 끊어진 채로 …

Read more »

경제학 리부팅, core-econ.org

여러모로 혁신적이다. 오픈소스에 가까운 포맷, Creative Commons License로 공개된 전문. 불평등의 문제를 현재의 경제학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로 제시한 교재답게, "The Economy"에서는 형식에서부터 지식의 공유라는 진지한 고민이…

Read more »

미셸 푸코, “말과 사물”

새로운 신이 창조되고 있었다. 전염병의 재앙은 선한 자와 악한 자, 신심이 깊은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가리지 않았고, 풍요로운 대지의 결실은 더 이상 사람들을 충분히 먹이지 못했다. 믿음이 부족해서라며 스스로를 탓하던 사람들은 견고한 침묵으로 일관하는 신에게서 천천히 …

Read more »

칼 슈미트 : “합법성과 정당성”, “정치신학”

굉장히 흡입력 있다. 비교적 짧은 글인데에도 순간 확 빠져들어가게 된다. 칼 슈미트는 명쾌하고 거침 없이 국가권력의 본질에 대해 따져묻는다. 악법도 법이라 할 수 있는가? 법은 정치로부터 자유로운가? 왜 법률은 현존하는 악을 처리하지 못하는가? 정치가 과연 일상의 고통들…

Read more »

앨런 브링클리,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1~3”

뉴스나 사회적 이슈를 접할 때 종종 두려움이 들 때가 있다. 사안의 중대함 탓에 느끼는 두려움과는 다른 두려움이다. 나도 모르게 즉각적으로 좋고 싫음을 판단하는 데에 대한 두려움이며, 말하자면 직관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 특히 …

Read more »

니클라스 루만 : “사회의 사회”

언어는 매우 정교하지만 충분할만큼 정교하지는 못하다.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때때로 당황스러운 기분을 느끼게 되는데, 동일한 어휘로 똑같은 말을 하면서도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든지, 또는 그와는 정반대되는 경험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Read more »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예술은 특별하지 않다. 사회와 시대의 한계는 예술에서도 고스란히 적용되며, 제도 안에서 제도와 공생하는 또 하나의 제도이기도 하다. 가령 전쟁영웅을 추앙하는 사회라면 예술도 전쟁영웅을 기리게 마련이다. 종교적인 시대에서는 종교적 주제가 곧 예술의 주제가 되고, 길드 체제…

Read more »

케네스 월츠 : “인간 국가 전쟁”, “국제정치이론”

인간은 과연 서로에 대해 이해해줄 수 있을까? 설령 그렇다 치더라도, 서로에 대한 이해만으로 사람들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으리라 믿어도 되는 것일까? 냉정한 질문이었다. 마키아벨리의 저술이 중세 기독교 질서의 공공연한 허위를 폭로했다면, 케네스 월츠의 질문은 근대 자유…

Read more »

지그문트 바우만: “현대성과 홀로코스트”, “쓰레기가 되는 삶들”

시간을 돌이켜 1999년으로 잠시 돌아가보자. 당시 사람들은 새로운 밀레니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20세기의 험난한 경험 탓에 호들갑스런 낙관에 빠져들 수는 없었더라도 여전히 21세기는 기대할만한 것이었다. 물론 하룻밤 사이에 세상살이가 갑자기 나아질리도 없었고, 또…

Read more »

알렉시 드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앙시앙 레짐과 프랑스 혁명”

1989년 이후 민주주의는 당연한 것이었다. 시장주의의 승리와 맞물려 민주주의는 사회정의의 유일한 실현수단으로 인정받았고, 인류에게 남겨진 과제란 오직 이 승리를 더욱 확대시켜나가는 것일 따름이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거의 30여년이 흐른 지금, 인류는 더 많은 갈등과 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