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아이러니.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된다고 했던가. 1979년 이란의 혁명은 팔레비 왕가를 쫓아내고 프랑스에서 망명 중이던 종교지도자 호메이니를 다시 불러들였다. 하지만 공화국 설립의 기쁨도 잠시 뿐. 왕정보다 더 잔악했던 신정이 이란의 시민을 압박해갔다. 왕가를 쫓아내는데에 가장 열성적이었으나 자신 또한 새로운 정부에 의해 쫓기는 신세로 전락해버린 나히드 페르손 감독은 <왕비와 나(The Queen and I, 2008)>에서 자신의 오랜 숙적, 왕비를 만난다.

30년에 가까운 세월. 서로가 가진 생각과 망명의 이유는 달랐으나, 두 사람 모두 망명길에서 가족의 일부와 자신의 삶 전부를 잃어버린다. 고향을 밟을 수 없는 자들의 슬픔. 여전히 우아하지만 불행한 개인사 때문인지 다소 방어적인 왕비에게 차마 날선 질문을 던지지 못하는 나히드 감독의 고민. 객관적으로 이란의 역사를 바라보고 싶어했던 감독의 의지는 자신의 상처를 공유하고 치유하기를 바라는 두 사람의 영상으로 바뀌어간다. 결국은 사람에 불과하기에, 혼란에 빠져버린 나히드 감독의 자그마한 변명, 하지만 가장 진실한 언어.


<바더 마인호프(The Baader Meinhof Complex, 2008)>의 첫장면을 기억하시는 분들에게 더욱 권할만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