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A. 홉슨, 『제국주의론』

ISBN: 979-11-12-06410-3


본서는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학자인 J. A. 홉슨의 『제국주의론(Imperialism: A Study)』를 완역한 것이다.

19세기 말, 산업에서 새로이 부흥하던 강대국들의 등장으로 인해 영국이 주도하던 세계질서는 점차 강한 도전을 받게 되었는데, 특히나 식민지 획득을 목표로 하는 팽창정책이 각국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면서, 그에 따라 군사적 충돌도 더욱 빈번해져만 갔다. 홉슨은 이런 제국주의 열강의 경쟁이 급격한 생산 증가를 따라잡지 못하는 소비로 인한 결과라고 진단하고는, 자국 내에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는 자본이 해외에서 시장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제국주의의 핵심으로 지목하였다. 그리고 이런 경제적 목적을 위해 팽창주의와 보호무역, 군국주의에 대한 호소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그리고 이를 정당화하는 데에 과학과 종교, 언론 등이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서의 비판적 시각은 블라디미르 레닌과 한나 아렌트를 비롯, 이후 국제경치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구입처:
   bookk: https://bookk.co.kr/bookStore/68d225a3bd21e99c632782bd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8204958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K822032918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5292453

   북센: https://orderbook.booxen.com/book/bookSerachView.do?pageNum=1&pageSize=&sort=&searchPageViewFlag=&kwd=9791112064103



지은이 J. A. 홉슨

1858년 7월 6일 영국 더비에서 태어난 경제학자이자 사회과학자이다. 급진적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윌리엄 홉슨의 둘째 아들로, 옥스퍼드 링컨 칼리지에서 고전 등을 공부하였다. 졸업 후에는 교사로 살다, 1887년 결혼과 함께 런던으로 이주하면서, 당시의 경제상황에 비판적이었던 페이비언 소사이어티 및 여타 진보단체와 교류하기 시작하였다.

1889년 친구였던 앨버트 F. 머머리와 협력하여 그의 주요업적 중의 하나인 과소소비이론을 발표하였고, 1899년에는 맨체스터 가디언에서 남아프리카 특파원으로 고용되어 제2차 보어 전쟁을 취재하면서, 영국 제국주의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제국주의론』을 대표작으로 하여, 국제적 갈등에 관한 여러 저술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이에 반대하여 민주통제연합이라는 반전단체에 가입하는 등, 여러 정치 및 저술 활동을 이어가다 1940년 4월 1일 영국 런던의 햄스테드에서 유명을 달리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빈곤의 문제』, 『실업의 문제』, 『징고이즘의 심리학』, 『제국주의론』, 『산업체계론』 등이 있다.



목차:

일러두기
1938년판 서문
초판 서론
국민주의와 제국주의

제1부 제국주의 경제학
    제1장 제국주의에 대한 측정
    제2장 제국주의의 상업적 가치
    제3장 인구의 배출구로서 제국주의
    제4장 제국주의의 경제적 기생
    제5장 보호무역에 기반하는 제국주의
    제6장 제국주의의 경제적 뿌리
    제7장 제국주의적 재정

제2부 제국주의 정치학
    제1장 제국주의의 정치적 의미
    제2장 제국주의에 대한 과학적 옹호
    제3장 도덕적·정서적 요인
    제4장 제국주의와 하등인종
    제5장 아시아에서의 제국주의
    제6장 제국 연방
    제7장 결론

부록
    부록 1
    부록 2
    부록 3
    부록 4
    부록 5
    부록 6
    부록 7
    부록 8
    부록 9
    부록 10
    부록 11
    부록 12
    부록 13
    부록 14
    부록 15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용어
    인명
    문헌